이재명 대통령은 7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초기에 합의했던 3,500억 달러 규모의 미국과의 무역·투자 협정 조건에 대해 반발하며, 모든 협정은 “상업적 합리성을 바탕으로 해야”하며 양국의 이익을 반영해야 한다고 밝혔다.
‘상업적 합리성’ 요구
이 대통령은 수요일(24일) 뉴욕에서 열린 유엔 총회 기간 중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과 회동했다.
김용범 정책실장에 따르면, 이번 회담은 한국 수출품에 대한 관세 인하를 포함한 광범위한 협정의 일환으로 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7월 ‘원칙적으로’ 합의한 대규모 투자 패키지를 중심으로 진행됐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김 정책실장은 브리핑에서 “미국과의 투자 패키지와 관련해 (이 총리는) 상업적 합리성에 기반해 양국 이익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진전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동행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베센트 차관과 별도 회담을 갖고 제안된 투자 규모와 외환 보유고에 미칠 잠재적 영향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미국과 통화 스왑 추진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주 초 트럼프 대통령의 3,500억 달러(약 350조 원) 미국 투자 요구가 1997년식 아시아 금융 위기를 촉발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이 대통령은 “통화 스왑 없이 미국이 요구하는 방식으로 3,500억 달러를 인출해 전액 현금으로 미국에 투자한다면 한국은 1997년 금융위기 당시와 같은 상황에 직면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정책실당 역시 동일한 입장을 재차 강조하며, 최종 합의 지원을 위해 미국으로부터 무제한 신용 한도를 포함한 외환 스왑을 요청했다. 한국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미국은 현재 통화 스왑 체결을 위한 한국 측 제안을 검토 중이다.
한편, 한국 원화는 목요일 달러 대비 심리적 저항선인 1,400원을 돌파해 1,405.7원까지 치솟았다가 본고 작성 시점 기준 1,401.4원으로 후퇴했다. 이는 5월 중순 이후 가장 약한 수준이다.
사진: 셔터스톡
Benzinga Pro의 독점 뉴스 및 도구로 수익률을 높이세요.
독점 속보 및 스캐너와 같은 Benzinga Pro의 강력한 도구 세트로 다른 트레이더보다 우위를 점하세요. 여기를 클릭하여 14일 무료 체험을 시작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