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수

금요일(16일) 글로벌 신용평가업체 무디스(Moody’s Ratings)가 미국의 장기 신용등급을 Aaa에서 Aa1로 강등하고 전망을 “부정적”(negative)에서 “안정적”(stable)으로 변경했다. 이로써 무디스는 피치, S&P 글로벌에 이어 미국의 신용등급을 최고 등급인 ‘트리플A’ 이하로 강등한 것이며, 이제 3대 신용평가사 모두 미국을 최고 등급 이하로 평가하게 되었다.

5주 전만 해도 시장과 기업은 최악의 상황에 대비하고 있었습다. 4월 2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전격적인 관세 발표는 주식과 신용 시장에 공포를 불러일으키며 무역으로 인한 경기 침체에 대한 두려움을 촉발시켰다.하지만 5월 중순이 지나면서 이러한 경제 비관론의 마지막 흔적은 사라졌다. 신용 스프레드부터 전통적인 월가의 스트레스 지표까지, 투자자들이 더 이상 미국 경기침체에 대한 가격을 책정하지 않는다는 메시지는 분명하다. 

최근 주식 시장에 관심을 기울여왔다면, 가치주가 화려한 성장주의 중심에서 떠오르고 있는 다소 의외의 상황을 목격한 적이 있을 것이다. 3개월 동안 러셀 1000 가치 지수는 러셀 1000 성장 지수를 11%나 앞질렀다. 작년 이맘때만 해도 기술과 인공지능(AI)이 시장을 주도했던 것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이다.

CNN 머니의 공포·탐욕 지수는 전체 시장 심리가 하락했음을 보여 주었다. 지수는 금요일에 “극단적 공포” 영역으로 이동했다.미국 증시는 지난 금요일(28일)에 하락세로 마감했으며, 다우존스 지수는 투자자들이 최근 관세 관련 뉴스를 평가하는 동안 세션 중 700포인트 이상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