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전략의 중대한 전환으로, 애플(NASDAQ:AAPL)은 챗봇과 유사한 경험을 우선시하고 시리(Siri) 음성 어시스턴트를 전면 개편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블룸버그의 마크 거먼은 최신 “파워 온” 리포트에서 애플이 지난해 공개한 AI 전략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고 밝혔다. 회사가 이전에 채팅봇 기반 접근 방식을 무시했던 것은 값비싼 실수로 드러났다.
애플이 오픈AI의 챗GPT를 시리에 통합하기는 했지만, 그 통합은 피상적이어서 진정한 채팅봇 경험을 원하는 사용자들은 독립형 오픈AI 앱으로 향하게 했다.
애플은 이제 챗GPT와 유사한 경험이 포괄적인 생성형 AI 전략의 핵심 요소임을 인식하고 있다.
새로운 팀인 ‘답변, 지식 및 정보(AKI)’가 설립되어 챗봇이 뛰어난 분야인 일반 지식 검색 제품을 개발 중이다.
또한 AI 기반 웹 검색 도구를 개발 중이며, 이는 회사를 챗GPT와 유사한 경험에 한 걸음 더 가깝게 만든다. 이 전략의 핵심은 ‘프로젝트 린우드'(Project Linwood)라는 코드명으로 재설계된 시리로, 내년 3월 초 출시될 예정이다.
린우드는 구글의 제미나이(Gemini)로 추정되는 외부 모델과 애플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Foundation Model) 그룹의 기술을 통합할 예정이다.
개편된 시리는 웹 검색 기능을 지원하고, 기기 내 데이터를 활용해 시리 요청을 처리하며, 음성 제어만으로 아이폰 전체를 탐색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애플은 새로운 시리 기술을 테스트하기 위해 내부 채팅봇 앱(코드명 베리타스)을 개발했다. 이 앱은 음성 상호작용 없이도 질의를 제출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애플은 현재 이 챗봇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계획이 없으며, 새 시리의 기능 테스트에 활용하기로 했다.
이러한 AI 전략의 전환은 애플이 기술 산업에서 챗봇형 경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회사가 이전에 챗봇 기반 접근법을 외면한 결과, 만족스럽지 못한 사용자 경험이 초래되었다.
시리를 개편하고 챗봇형 경험에 집중함으로써 애플은 AI 분야에서 경쟁 우위를 되찾고자 한다. AKI 팀 구성과 AI 기반 웹 검색 도구 개발은 애플의 AI 서비스 개선 의지를 더욱 부각시킨다.
이 전략의 성공은 애플의 AI 산업 내 위치를 재정의할 수도 있다.
사진: 셔터스톡
Benzinga Pro의 독점 뉴스 및 도구로 수익률을 높이세요.
독점 속보 및 스캐너와 같은 Benzinga Pro의 강력한 도구 세트로 다른 트레이더보다 우위를 점하세요. 여기를 클릭하여 14일 무료 체험을 시작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