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미국 투자자들은 소비자물가지수(CPI)가 3%로 몇 달 동안 가장 높은 인플레이션 수치 중 하나를 기록해 충격을 받았다. CPI는 2022년 9%를 돌파한 이후 꾸준히 하락해 왔으며, 시장은 연말까지 연준의 2% 목표치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이렇게 높은 CPI 수치는 몇 가지 의문을 제기한다. 이러한 일회성 효과는 계절적 요인에 의한 것일까? 아니면 소비자들이 잠재적인 관세에 대해 미리 움직이고 있는 것일까? 아니면 식량과 에너지와 같은 특정 요소가 새로운 인플레이션 물결의 경고 신호를 보내고 있는 것일까?
한 번의 높은 CPI 수치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 어렵지만, 투자자와 소비자들은 경계심을 갖게 되었다. 이전에 기록했던 CPI 9%라는 수치의 상처는 여전히 모든 사람의 마음에 생생하게 남아 있으며, 몇 번 더 높은 수치가 나온다면 2025년의 금리인하 희망이 사라질 수 있다. 인플레이션이 다시 시작되면 일부 섹터는 다른 섹터보다 더 제대로 대비해야 한다.
인플레이션이 계속 높을 경우 피해야 할 5가지 섹터는 다음과 같다.
소비재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인플레이션이 급증하자, 소비자들은 사치품과 경험보다는 필수품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인플레이션은 자주 구매하지 않거나 더 저렴한 대체품이 있는 소비재 부문의 기업에 타격을 입힌다. 또한 구매력을 약화시켜 가처분 소득을 소비재에 덜 사용한다.

iShares US Consumer Discretionary ETF(NYSE:IYC) 차트에 따르면 이 부문은 2021년 11월에 정점을 찍은 후 거의 3년 동안 새로운 최고치를 기록하지 못했다. CPI가 2%에 가까워지면서 ETF는 지난 12개월 동안 28% 상승했지만, 새로운 물결이 특히 자동차 제조업체, 주택 건설업체, 여행사, 명품 의류 브랜드와 같은 업종에 타격을 줄 수 있다. 향후 몇 달 동안 인플레이션이 계속 상승한다면, 크루즈 회사, 호텔, 전문 소매업체와 같은 주식에 대한 노출을 줄이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부동산 투자신탁(REITs)
높은 배당금으로 인해, 때때로 리츠(REITs)는 인플레이션 헤지로 간주되기도 한다. 그러나 인플레이션은 금리 상승을 통해 차입 비용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리츠와 같이 부채가 많은 기업은 활동 자금 조달을 위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차입 비용이 상승하면, 리츠는 확장을 늦추거나 배당금 지급을 중단할 수 있다. 높은 금리는 더 나은 금융 옵션을 기다리는 주택 구매자들을 시장에서 배제시킬 수도 있다.

Vanguard Real Estate ETF(NYSE:VNQ)는 2021년 12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37%의 손실을 입었다. 이는 리츠가 높은 CPI 수치와 연준의 금리 인상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인플레이션이 계속해서 높은 수준을 유지한다면, 공실이 많은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거나 침체된 시장에 위치한 부동산 투자신탁이 가장 큰 위험에 처할 것이다.
상업용 리츠는 특히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기업들이 인원을 늘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리고 대기업에서 재택근무가 점점 더 표준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 기업은 직원들을 다시 사무실로 복귀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리츠를 조사할 때는 부채 수준이 높고, 부동산 포트폴리오가 좋지 않으며, 배당금 지급 비율이 높은 기업은 피해야 한다.
생명공학
생명공학(또는 바이오테크) 섹터는 언제나 투자하기에 불안정하며, 높은 인플레이션과 불확실성의 시기는 그 사실을 몇 배 더 악화시킬 수 있다. 생명공학 혁신은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많이 걸리며, 그 결과는 종종 몇 달 또는 몇 년 후에 나온다. 투자자들이 단기적인 사고방식을 채택할 때, 오랜 기간의 테스트와 실험이 필요한 생명공학 같은 섹터는 인기가 떨어진다.

생명공학 섹터는 2022년의 약세장에서 아직 회복되지 않았고, 지속적인 인플레이션과 높은 금리는 궁지에 몰린 이 산업에 더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생명공학 기업들은 연구개발에 막대한 초기 투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마치 개가 스테이크를 먹는 것처럼 자본을 소모한다.
초기 단계의 많은 생명공학 기업들은 매출이 전혀 없고, 부채에 의존하여 간신히 버티고 있다. 공급 비용과 자금 조달 비용이 상승하면, 이런 회사들은 기존 주주들의 지분을 희석시키면서, 원치 않는 것보다 더 많은 주식을 팔아야 하는 경우가 많다. 투자자들이 불확실한 시기에 위험을 줄이려고 한다는 사실과 함께, 2025년을 시작하는 생명공학 섹터는 위태로워 보인다.
산업재
생명공학과 마찬가지로, 인플레이션이 높을 때 산업 부문은 두 가지 중요한 역풍을 작용한다. 바로 긴 기간과 자본 집약적 프로젝트이다. 산업 기업은 주택을 짓고, 중장비를 생산하고, 귀중한 원자재를 운송하는데 이 모든 것에는 많은 사전 계획과 자본이 필요하다.

SDPR Sector Select Industrial Fund(NYSE:XLI)는 2022년과 2023년 내내 좁은 범위에서 거래된 후 반등세를 보였다. 그러나 인플레이션도 반등한다면 이 부문의 기업들은 더 높은 자본 비용을 지불해야 하고 프로젝트를 중단해야 할 수도 있다. 산업 부문은 주기성이 매우 높으며, 경기 둔화는 종종 다른 시장 부문으로 파급된다.
또한, 산업 회사들은 많은 인력을 고용하고 있으며, 운영 자본에 덜 의존하는 분야보다 가격 결정력이 약한 경우가 많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플레이션이나 금리가 높을 때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것은 좋지 않은 조합이다.
유틸리티
일반적으로 유틸리티는 시장 하락 시 안전한 분야로 여겨진다. 낮은 변동성과 안정적인 배당금으로 인해 약세장에서도 안전한 피난처로 여겨진다. 그러나 일반적인 시장 하락에는 높은 금리와 3% 이상의 CPI가 수반되지 않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유틸리티가 항상 가장 안전한 피난처는 아니다. SDPR Sector Select Utilities ETF(NYSE:XLU)의 성과는 약세장이 항상 해당 분야에 호재가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 준다.

유틸리티의 매력은 자본 가치 상승이 아니라 분기 배당금에 있다. 배당금을 통한 소득은 많은 투자자들에게 채권과 유사한 수단을 만들어 준다. 많은 투자자들이 유틸리티와 기술주 같은 위험성이 높은 주식을 함께 매입함으로써 성장과 소득을 모두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 그러나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면 금리도 상승하게 되고, 높은 금리는 미국 재무부 채권과 기업 부채와 같은 실제 채권의 매력을 더해줄 것이다.
투자자들이 미국 재무부 채권에서 유사한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고 가정해 보자. 이 경우, 그들은 당연히 쿠폰 지급을 고정하고 기간이 종료되면 자본 수익을 보장하는 재무부 채권에 기대를 걸 것이다. 또한, 공공시설은 부채가 많고 엄격한 규제 심사를 받는다. 규제 지연은 가격 인상이 종종 법에 의해 승인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회사의 수익에 타격을 줄 수 있다.
이미지 출처: Shutterstock
Benzinga Pro의 독점 뉴스 및 도구로 수익률을 높이세요.
독점 속보 및 스캐너와 같은 Benzinga Pro의 강력한 도구 세트로 다른 트레이더보다 우위를 점하세요. 여기를 클릭하여 14일 무료 체험을 시작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