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 크레이머는 엔터테인먼트 대기업 월트 디즈니(NYSE:DIS) 주식에 대해 옹호하며, 견고한 펀더멘털에도 불구하고 나타난 최근 주가 하락이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진입점이 되었다고 주장했다.
무슨 일 있었나: CNBC의 크레이머는 화요일(18일)에 “디즈니는 몇 주 전에 훌륭한 분기 실적을 보고했지만 이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지 못했다”고 말하면서 경영진의 연간 가이던스에 대한 보수적인 접근 방식이 최근 주가 약세에 기여했다고 지적했다.
크레이머는 “이번 주가 하락은 엄청난 매수 기회를 창출했으며, 현재 주가는 과거에 비해 저렴한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고 했다.
디즈니의 최근 실적 보고서는 매출과 이익 기대치를 모두 초과했지만, 디즈니플러스(Disney+) 가입자 손실과 변경되지 않은 가이던스에 대한 우려가 나타났다. 휴 존스턴 CFO는 디즈니의 신중한 전망을 옹호하면서 “빠르게 진화하는 거시적 환경”을 언급했다.
CNBC 인베스팅 클럽의 자선신탁을 통해 2018년부터 디즈니를 보유하고 있는 크레이머는 몇 가지 고무적인 발전을 지적했다. 디즈니의 소비자 직접 판매 부문은 훌루의 실적에 힘입어 수익성을 달성했다. 또한 디즈니의 테마파크 및 크루즈 부문은 날씨와 관련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회복력을 보였으며, 스포츠 부문은 새로운 ESPN 플랫폼 출시를 앞두고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었다.
왜 중요한가: 이러한 낙관적 전망은 디즈니의 영화 사업부가 “캡틴 아메리카”와 함께 모멘텀을 유지하는 가운데 나왔다.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가 개봉 주말에 전 세계적으로 1억 9,24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이 같은 성과는 디즈니의 콘텐츠 파이프라인이 지속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하지만, 이 영화에 대한 비평가들의 엇갈린 평가(로튼 토마토 기준 50%)는 장기적인 흥행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크레이머는 “이번 분기 이후 사람들이 디즈니를 매도한 이유를 살펴본 결과, 이렇게 말라고 싶다”며 “내 생각에는 약세 시나리오는 근거가 약하다고 생각한다”고 결론지으면서 디즈니에 대한 긍정적 전망을 강조했다.
최근 애널리스트들 역시 대체로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으며 로젠블랫, 모건스탠리, 니덤은 2월에 디즈니 평균 목표주가를 131.67달러로 책정하여 20% 가까운 상승 가능성을 시사했다.
주가 움직임: 디즈니 주가는 화요일에 109.56달러로 마감하여 애널리스트의 컨센서스 목표가인 123.32달러를 훨씬 밑돌았다. 벤징가 프로 데이터에 따르면 주가는 2021년 3월에 사상 최고가인 197.16달러를 기록했다.
이미지 출처: Shutterstock
면책 조항: 이 콘텐츠는 부분적으로 AI 도구의 도움을 받아 작성되었으며, Benzinga 편집자가 검토하고 게시했습니다.
다른 트레이더들보다 30분 일찍 시장 움직임에 대한 독점 뉴스를 받아보세요.
Benzinga Pro의 독점 뉴스를 통해 수백만 명의 다른 트레이더보다 더 빠르게 유용한 투자 뉴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를 클릭하여 14일 무료 체험을 시작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