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OTC:SSNLF)는 오픈AI 및 퍼플렉시티AI와 협력하여 차세대 갤럭시 기기에 더 다양한 AI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협상 중이다. 삼성은 알파벳 (NASDAQ:GOOGL) 구글의 제미나이 모델에 대한 독점적인 의존도를 넘어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원준 삼성 모바일 부문 사장은 삼성이 다가오는 갤럭시 S26 스마트폰 라인업에서 더 많은 AI 기반 선택지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전했다고 블룸버그는 금요일(25일) 보도했다.
삼성의 현재 모델은 많은 안드로이드 폰과 마찬가지로 알파벳의 AI에 크게 의존하고 있지만, 이제 자사의 제품군을 다양화하려 하고 있다.
관련된 소식으로서, 블룸버그 뉴스는 6월에 삼성전자가 퍼플렉시티AI와 투자 계약을 최종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보도했다. 이 계약이 체결되면 퍼플렉시티으,ㅣ AI 어시스턴트와 애플리케이션이 향후 삼성전자의 기기에 원활하게 통합된다.
치열해지는 경쟁 속 폴더블폰 및 칩셋에 주목
최 사장은 삼성전자가 애플(NASDAQ:AAPL) 폴더블폰 시장 진출을 예상하며, 폴더블폰 시장에서의 경쟁 강화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애플은 내년 첫 폴더블 아이폰을 공개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삼성의 기존 갤럭시 Z 폴드 디자인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전해지고 있습.
한편, 삼성은 갤럭시 S26용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전략을 검토 중이며, 퀄컴(NASDAQ:QCOM)칩셋과 자체 개발한 엑시노스 2600 사이에서 선택을 고민하고 있다.
이러한 검토는 삼성의 최근 결정인 신규 출시된 갤럭시 Z 플립 7에 엑시노스 칩셋을 탑재한 것이 폴더블 라인업에서 처음으로 적용된 점을 고려한 것이다.
중국 OEM 업체들, 구글 AI 채택 확대
한편,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애플과 삼성과 같은 글로벌 리더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구글의 AI 기술을 점차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 2025에서 샤오미, 오포, 화웨이 등 주요 중국 브랜드들은 구글의 제미나이를 탑재한 새로운 AI 기반 스마트폰을 선보였다. 이 스마트폰들은 AI 사진 지우개와 예약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가상 비서 기능을 선보다.
니콜 펜 카날리스 부사장은 중국 브랜드들이 구글의 AI를 채택하는 이유는 그 광범위한 기능과 글로벌 영향력 때문이며, 이는 삼성의 다각화된 전략과 더 잘 맞물리는 전략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구글이 이 성장 추세의 주요 수혜자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장 동향: 애플의 선두, 삼성의 견고한 위상
1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 시장에서 애플은 아이폰16e의 강한 수요와 인도, 일본 등 주요 신흥 시장의 견고한 성장에 힘입어 19%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며 선두를 차지했습. 삼성은 S25와 A 시리즈 모델의 성과에 힘입어 18%의 점유율로 그 뒤를 이었다.
카운터포인트 리서치는 해당 분기 전체 시장 성장률을 3%로 기록하며, 중국과 기타 신흥 지역의 강한 성장세가 선진 시장에서의 감소세를 상쇄했다고 분석했다. IDC는 글로벌 출하량이 1.5% 증가했다고 밝히며, 애플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가능성에 대비해 미국에서 아이폰 재고를 전략적으로 확보한 점을 언급했다.
앞으로 전망을 보면, 카운터포인트는 2025년 시장 감소세를 예측했으며, 이는 관세 관련 불확실성으로 인한 수요 억제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특히 미국에서 이 영향이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애플과 삼성에 이어 샤오미, 비보, 오포가 시장 점유율 상위권을 차지했다.
사진 출처: Sybillla via Shutterstock
Benzinga Pro의 독점 뉴스 및 도구로 수익률을 높이세요.
독점 속보 및 스캐너와 같은 Benzinga Pro의 강력한 도구 세트로 다른 트레이더보다 우위를 점하세요. 여기를 클릭하여 14일 무료 체험을 시작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