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OTC:SSNLF)는 반도체 제조 경쟁에서 반격을 가속화하고 있다. 2나노미터(nm) 생산량을 확대하고 주요 신규 고객사를 확보하며 TSMC(NYSE:TSM)와의 오랜 격차를 좁히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차세대 생산 능력 163% 증가, 안정적인 수율, 그리고 테슬라(NASDAQ:TSLA)의 AI 칩부터 새로운 모바일 및 AI 설계에 이르기까지 주요 계약 체결은 첨단 반도체 시장의 권력 균형을 재편할 수 있는 중대한 전환점을 알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3나노미터(nm) 생산을 안정화하고 2나노미터 기술 개발을 추진 중이다.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업계 분석가들은 삼성전자의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 공장 가동 확대로 2027년까지 삼성 파운드리 사업부가 흑자 전환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로 인해 대만 반도체와의 격차 추격 속도가 가속화될 것으로 내다본다.
카운터포인트 리서치는 수율 개선에 따라 삼성의 2nm 생산 능력이 2024년 월 8,000웨이퍼에서 2025년 말까지 21,000웨이퍼로 163%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연구소는 삼성의 2nm 공정 발전이 모바일, 슈퍼컴퓨팅, AI 고객 확보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삼성의 2nm 수율률은 55~60%까지 상승한 것으로 알려졌다. 생산 안정성이 높아지면서 삼성은 테슬라와의 차세대 AI6 칩 165억 달러 규모 계약을 포함해 주요 첨단 칩 주문을 수주했다.
삼성 시스템 LSI는 엑시노스 2600 프로세서, 애플(NASDAQ:AAPL) 이미지 센서, 중국 마이크로비티 및 카난(NASDAQ:CAN)의 채굴용 ASIC 주문을 확보했으며, 애널리스트들은 퀄컴(NASDAQ:QCOM)도 뒤따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2분기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은 TSMC가 70.2%, 삼성전자는 7.3%에 그쳤다.
삼성은 9월 이후 주요 메모리 칩 가격을 최대 60%까지 인상했으며, AI 데이터센터 수요로 인한 글로벌 부족 사태 속에서 패닉 주문이 급증하면서 구매자들을 압박하고 있다.
삼성은 공급 부족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며 가격 결정력을 강화하고 있다. 9월 분기 영업이익은 12조1000억 원(85억 달러)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매출은 8.7% 증가한 86조 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이는 높은 가격과 DRAM 및 NAND 공급 부족에 힘입은 결과다.
애널리스트들은 삼성전자가 고대역폭 메모리(HBM) 출하량을 늘리고 2026년 HBM4 상용화를 목표로 삼으면서 수익 모멘텀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삼성전자는 4분기에 계약 가격을 추가로 40~50% 인상할 계획이다.
주가 움직임: 월요일 프리마켓에서 0.73% 하락한 273.04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사진 출처: Arcansel via Shutterstoc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