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초, 투자자 케빈 오리어리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광범위한 시장의 금리인하 기대에도 불구하고 금리동결을 유지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강한 경제 성장, 자산 가격 상승, 관세와 인공지능(AI)의 파괴적 영향 등을 근거로 들었다.
오리어리 “연준이 시장 놀라게 할 수도”
월요일(18일)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오리어리는 연준의 정책 딜레마에 대해 언급하면서 파월의 입장을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고 묘사했다.
그는 파월이 임기 말에 접어들면서 투자자나 정치인을 달래기 위해 단순히 금리를 인하할 정치적 유인이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파월 의장 임기는 2026년 5월에 종료된다.
“그는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지 않는 일은 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렇게 물었다. “연준이 금리를 인하하면 위험 자산을 포함한 모든 자산 클래스가 급등할 것이다. 그 목적이 무엇인가? 현재 우리가 고치려는 것이 무엇인가?”
‘미스터 원더풀’로 알려진 케빈 오리어리는 연준이 최대 25bp 인하를 단행할 수 있지만, 파월이 움직이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The Fed’s in a very difficult situation. First of all, Powell, the outgoing Fed Chair, is very frisky when he knows he’s going out. He doesn’t have to worry about much ’cause he’s at the end, he’s in the ninth inning of his tenure. So, he’s not gonna do anything he doesn’t think… pic.twitter.com/fnxGBPVl7z
— Kevin O’Leary aka Mr. Wonderful (@kevinolearytv) August 19, 2025
파월의 잭슨홀 연설
시장은 금요일(22일) 잭슨 홀 경제 정책 심포지엄에서 파월의 연설을 앞두고 긴장감 속에 지켜보고 있다.
퓨처펀드의 개리 블랙에 따르면 애널리스트들은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84%로 추정한다. 펀드스트랫의 톰 리는 파월이 “유화적인 어조”를 보일 것을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예상보다 높은 인플레이션 보고서와 7월 고용 증가가 73,000건에 그친 실망스러운 결과는 완화 정책의 근거를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2분기 국내총생산(GDP)은 3%의 연간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관세와 물가 상승은 여전히 주요 위험 요인으로 남아 있다.
AI 생산성 vs 노동조합의 반발
케빈 오리어리는 인공지능(AI) 도입과 노동조합의 규제 요구 사이의 갈등을 언급했다. AFL-CIO를 비롯한 노동 단체들은 주 의원들과 협력해 자율주행 차량부터 직장 감시까지 AI 규제를 논의 중이다.
“그들은 싸움에 이기지 못할 것”이라며 오리어리는 AI가 경제의 11개 모든 분야에서 생산성을 높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보험과 같은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도 우리는 압도적이다. 일어나고 있는 일이 믿기 어려울 정도다.”
그는 노조의 저항을 자동차에 반대하는 마차 제작자들의 시위에 비유하며, AI의 혁신은 불가역적이며 현재 시장 강세의 주요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이것이 시장이 이렇게 뜨거운 이유 중 하나다. 시장은 AI를 통해 생산성과 마진 개선을 모든 곳에서 보고 있다.”
사진 제공: 카시 허친스(Shutterstock.com)
면책 조항: 이 콘텐츠는 부분적으로 Benzinga Neuro의 도움을 받아 생성되었으며, Benzinga 편집자가 검토하고 게시했습니다.
Benzinga Pro의 독점 뉴스 및 도구로 수익률을 높이세요.
독점 속보 및 스캐너와 같은 Benzinga Pro의 강력한 도구 세트로 다른 트레이더보다 우위를 점하세요. 여기를 클릭하여 14일 무료 체험을 시작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