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요일(28일) 엔비디아(NASDAQ:NVDA)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중국을 첨단 인공지능(AI) 칩 시장에서 고립시키려는 움직임이 역효과를 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젠슨 황, 미국 주도권과 글로벌 접근성 사이 균형 촉구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워싱턴에서 열린 엔비디아 첫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젠슨 황 CEO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 미국이 AI 분야에서 주도권을 유지하면서도 중국 개발자 생태계와의 접근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 CEO는 “미국이 이 AI 경쟁에서 승리하기를 바란다. 의심의 여지가 없다”며 “세계가 미국 기술 스택 위에 구축되길 바란다. 분명히 그렇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중국 개발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중국 시장에도 진출해야 한다”며 “미국이 전 세계 AI 개발자의 절반을 잃게 만드는 정책은 장기적으로 유익하지 않으며 오히려 우리에게 더 큰 피해를 준다”고 덧붙였다.
엔비디아, 미국 내 생산 및 전략적 협력 강화
또한 젠슨 황은 엔비디아가 미국 에너지부를 위해 7대의 신규 슈퍼컴퓨터를 구축 중이라고 발표했다. 해당 부처는 첨단 칩 주문으로 5000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확보한 상태다.
가장 큰 슈퍼컴퓨터는 오라클(NYSE:ORCL)과 공동 구축되며 엔비디아의 신형 블랙웰(Blackwell) 칩 10만 개가 탑재될 예정이다.
이 시스템들은 핵 연구, 에너지 개발 및 국방 이니셔티브를 지원할 것이다.
같은 날 엔비디아는 노키아(NYSE:NOK)과 6G 네트워크 발전을 위한, 우버 테크놀로지스(NYSE:UBER) 및 스텔란티스(NYSE:STLA)와 자율주행차 분야를 위한,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NASDAQ:PLTR)와 정부 및 기업 고객을 위한 물류 및 AI 인프라 강화를 위한 새로운 파트너십도 공개했다.
긴장 고조 속 엔비디아 중국 시장 붕괴
젠슨 황의 발언은 미국이 국가 안보 우려를 이유로 엔비디아의 최첨단 AI 칩 중국 수출을 계속 제한하는 가운데 나왔다.
이에 중국은 보도에 따르면 바이트댄스와 알리바바 그룹(NYSE:BABA) 등 주요 기업들에게 엔비디아 하드웨어 구매를 중단하고 화웨이 테크놀로지스와 캠브리콘 같은 국내 공급업체로 전환할 것을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달 초 젠슨 황은 엔비디아의 중국 시장 점유율이 95%에서 0%로 급락했다고 밝혔다.
그는 화요일 열린 엔비디아 GTC 개발자 행사 기자회견에서 “중국 당국이 현재 엔비디아의 시장 진출을 원치 않는다는 점을 매우 분명히 했다”며 “중국은 매우 중요한 시장이므로 향후 상황이 바뀌길 바란다”고 말했다.
엔비디아는 또한 재무 전망에서 중국 관련 매출을 제외했다.
엔비디아, 미국 내 생산 확대 중이지만 장기적 위험 경고
젠슨 황은 화요일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 정책이 국내 반도체 생산을 촉진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그는 엔비디아가 애리조나에서 TSMC(NYSE:TSM)와 함께 반도체를 생산하고 있으며 텍사스와 캘리포니아에서 시스템을 조립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그는 엔비디아가 미국 내 연구개발(R&D) 자금 조달과 경쟁력 유지를 위해 중국에서 약 500억 달러 규모의 잠재적 매출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주가 움직임: 엔비디아 주가는 화요일 4.98% 상승한 201.03달러에 마감했고 애프터마켓에서 추가로 1.69% 올랐다.

사진 제공: Glen Photo via Shutterstock
면책 조항: 이 콘텐츠는 부분적으로 AI 도구의 도움을 받아 작성되었으며, Benzinga 편집자가 검토하고 게시했습니다.
Benzinga Pro의 독점 뉴스 및 도구로 수익률을 높이세요.
독점 속보 및 스캐너와 같은 Benzinga Pro의 강력한 도구 세트로 다른 트레이더보다 우위를 점하세요. 여기를 클릭하여 14일 무료 체험을 시작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