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클라우드 인프라 지출은 2025년 1분기 기준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해 116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국적으로 기업용 인공지능(AI)의 도입이 가속화되면서 급증한 것이다.
이러한 성장은 미국의 칩 수출 제한이 계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클라우드 서비스가 중국의 AI 역량 확대를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중국 클라우드 시장 규모는 2024년 400억 달러에서 2025년 460억 달러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알리바바 그룹(NYSE:BABA) 클라우드는 33%의 시장 점유율과 15%의 매출 성장으로 시장을 이끌었다. 화웨이 클라우드가 18%의 점유율과 18%의 성장을 이어갔으며, 텐센트(OTC:TCEHY) 클라우드는 10%의 점유율을 기록했으나, GPU 공급 문제로 제한된 것으로 SCMP가 전했다.
캐날리스(Canalys)에 따르면, 파트너 중심의 클라우드 매출은 1분기 시장 점유율의 25%를 차지했으며, 생태계 협력이 AI 기능을 비즈니스 가치로 전환함에 따라 그 점유율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알리바바 클라우드(Alibaba Cloud)는 큐웬(Qwen) AI 모델 제품군이 모멘텀을 얻으면서 특히 AI 기반 제품 분야에서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알리바바의 다모 아카데미(Damo Academy)와 저장성 암병원(Zhejiang Cancer Hospital)은 6월에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에 발표된 바와 같이, 3D CT 스캔을 통해 초기 위암을 진단하는 AI 모델인 “그레이프”(Grape)를 공동 개발하여 방사선 전문의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이는 알리바바의 2023년 췌장암 연구 성과에 이어 AI를 의료 분야에 더욱 통합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회사는 말레이시아, 한국, 필리핀에 새로운 데이터 센터를 개설하며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를 확장하고 있다. 2025년까지 알리바다는 싱가포르에 큐웬(Qwen) 모델, 모델 스튜디오(Model Studio), 글로벌 AI 허브를 출시할 계획이며, 향후 3년간 중국, 아시아, 중동, 유럽, 아메리카 지역으로 클라우드 네트워크를 확장할 목표다.
이 확장은 알리바다가 같은 기간 동안 클라우드 및 AI 인프라를 강화하기 위해 530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뒷받침하는 ‘AI+Cloud’ 전략의 일환이다.
AI 확장 전략을 강화하기 위해 알리바바는 최근 스마트폰 제조사 아너(HONOR)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는 알리바바의 AI 에이전트가 모바일 기기에 직접 통합되는 첫 사례다. 7월 2일 아너 매직(HONOR Magic) V5 출시 행사에서 공개된 이 협력은 알리바바의 큐웬3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큐웬-VL 비전 모델을 아너의 요요(YOYO) 어시스턴트에 적용한다.
이 협력을 통해 문서 분석, 역할극 시뮬레이션, 실시간 시각 인식 등 고급 기능이 가능해졌다고 알리자일라(Alizila)가 금요일 보도했다. 또한 알리바바의 플리기(Fliggy)와 아마프(Amap)에서 개발된 전문 AI 에이전트가 아너 생태계 내에서 음성 기반 여행 계획, 내비게이션, 라이프스타일 추천 서비스를 제공한다.
6월 초 알리바바는 애플(NASDAQ:AAPL)이 중국에서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에 머신러닝 기능을 통합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업데이트된 큐웬3 AI 모델을 출시했다. 이는 애플이 중국 AI 규정을 준수하면서 ‘애플 인텔리전스’ 서비스를 확대하려는 노력을 지원한다.
초기 카운터포인트 리서치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 스마트폰 시장은 2025년 2분기 반등을 앞두고 있으며, 화웨이와 애플이 전년 대비 판매 성장률에서 선두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화웨이는 주요 브랜드 중 가장 강력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충성도가 높은 사용자들이 신형 모델로 업그레이드함에 따라 1위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애플은 5월에 아이폰16 시리즈, 특히 프로 및 프로 맥스 모델의 할인에 힘입어 매출이 증가했다.
애널리스트들은 2분기 성장의 일부는 정부의 스마트폰 보조금에 기인한다고 분석하지만, 올해 말에 보조금이 축소될 경우 잠재적인 위험이 있다고 경고한다.
알리바바 주가는 AI 기반 클라우드 성장, 전자상거래 강세, 비핵심 자산 매각으로 인해 올해 들어 26% 급등했다.
주가 동향: BABA 주가는 금요일 프리마켓에서 0.24% 상승한 106.9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한국시간 오후 7:30 기준)
사진 출처: Shutterstock
Benzinga Pro의 독점 뉴스 및 도구로 수익률을 높이세요.
독점 속보 및 스캐너와 같은 Benzinga Pro의 강력한 도구 세트로 다른 트레이더보다 우위를 점하세요. 여기를 클릭하여 14일 무료 체험을 시작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