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도적인 생성형 AI 기업 오픈AI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영화 제작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음을 할리우드에 입증할 준비가 되어 있다.
무슨 일 있었나: 인공지능 활용 사례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이 기술은 영화 산업을 혁신할 수 있어 배우와 영화 제작자들이 AI 기술과 대립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 수 있다.
영화 제작 과정에서의 생성형 AI 활용 사례를 보여주기 위해, 오픈AI는 자사 크리에이티브 전문가의 애니메이션 영화 크리터즈(Critterz)를 지원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채드 넬슨(Chad Nelson)은 오픈AI의 달리(DALL-E) 이미지 생성 도구 등을 활용해 3년간 이 영화의 캐릭터 작업을 진행해왔다. 넬슨은 제작사 버티고 필름스(Vertigo Films)와 네이티브 포린(Native Foreign)과 협력했다.
버티고 필름스의 공동 창립자 제임스 리처드슨은 유사한 애니메이션 영화 제작에 보통 3년이 소요되는 반면, 이번 작품은 9개월 만에 완성하려 한다고 밝혔다.
리처드슨은 “매우 야심찬 대규모 실험”이라고 말했다.
목표는 내년 5월 12일부터 23일까지 열리는 칸 영화제에서 ‘크리터즈’를 첫 공개하는 것이다. “크리터즈”는 원래 단편 영화로 기획되어 2023년 오픈AI의 자금 지원을 받아 첫 선을 보일 예정이었다.
3천만 달러 미만의 예산으로 제작되는 이 영화는 생성형 AI 도구가 스튜디오와 독립 영화 제작자들에게 영화 제작 비용을 절감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가 될 것이다. 보도에 따르면 오픈AI는 도구와 자원을 제공하며 이 영화를 지원하고 있다. 재정적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다.
넬슨과 제작진은 영화 캐릭터의 목소리를 맡을 배우를 캐스팅하고, 오픈AI 도구에 사용될 스케치를 제작할 아티스트를 고용할 계획이다.
넬슨은 “오픈AI가 하루 종일 자사 도구의 기능을 설명할 수 있지만, 실제 누군가가 구현해 보여주는 것이 훨씬 더 영향력 있다”며 “제가 데모를 만드는 것보다 훨씬 더 나은 사례 연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왜 중요한가: 영화 스튜디오와 스트리밍 기업들이 할리우드 업계 관계자와 소비자들의 반발을 우려하며 AI 활용 정도를 고민하는 가운데, 오픈AI가 지원하는 영화 소식이 전해졌다.
지난 6월, 월트 디즈니 컴퍼니(NASDAQ:DIS)와 컴캐스트(CMCSA) 소속의 유니버설 브랜드는 AI 이미지 생성 회사 미드저니(Midjourney)에 대해 저작권 침해로 소송을 제기했다.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NASDAQ:WBD)는 그 이후 AI 회사에 대해 유사한 소송을 제기했다.
넷플릭스(NASDAQ:NFLX)는 런웨이AI(Runway AI)의 비디오 도구를 사용하여 최소한 한 영화의 제작을 가속화하고 있다. 디즈니는 런웨이 AI의 기술을 테스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SAG-AFTRA의 할리우드 파업에는 과거 스튜디오가 AI를 활용해 성우 역할을 인간 배우로 대체하고 영화 제작 과정의 직위를 없애는 것에 대한 불만이 포함된 바 있다.
‘크리터즈’가 성공한다면, AI 도구를 활용해 영화 제작 과정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을 입증함으로써 영화 산업을 뒤흔들 수 있다. 핵심 쟁점은 이 과정에서 일자리가 사라질지 여부다.
넬슨은 오픈AI의 비용 절감 효과가 오히려 영화 제작 인력 고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지켜봐야 할 부분이다.
오픈AI는 월스트리트저널에 “크리터즈” 영화가 “우리가 장려하고 싶어 하는 창의성과 탐구 정신을 반영한다”고 전했다. 이 영화는 향후 영화사, 극장, AI 분야에 대한 시험대가 될 수 있다.
사진: Gorodenkoff via Shutterstock
Benzinga Pro의 독점 뉴스 및 도구로 수익률을 높이세요.
독점 속보 및 스캐너와 같은 Benzinga Pro의 강력한 도구 세트로 다른 트레이더보다 우위를 점하세요. 여기를 클릭하여 14일 무료 체험을 시작하세요.